분류 전체보기
-
CentOS에서 iSCSI Initiator 설치 및 관리IT/리눅스 2024. 9. 25. 14:10
CentOS에서 iSCSI Initiator 설치 및 관리Linux에서의 iSCSI InitiatoriSCSI 서비스의 서버로써 제공하는 Storage entity를 target이라 하고 이렇게 제공된 entity를 가져다가 사용하는 것을 initiator라고 정의하였다. 즉, 제공되는 Storage를 가져다가 사용하기 위해서 Server에 접근하는 것을 Initiator라고 하며 iSCSI의 Client라고도 한다.CentOS에 iSCSI Initiator 설치 및 상태 확인CentOS 6.5에서 iSCSI Initiator 환경을 만들기 위해서는 iscsi-initiator-utils이라는 패키지가 필요하다 (iSCSI 서버에서는 scsi-target-utils라는 패키지였음). siscsi-init..
-
ARM64 Mac UTM 에서 다른 아키텍처 설치 방법IT/UTM 2024. 9. 16. 00:22
유의 할 점 ARM64 가 아닌 CPU 아키텍처를 에뮬레이션 하는 경우, VM 자체 성능이 매우 느림을 감안하고 테스트 해야 합니다. 기본적인 설정들로만 x86_64 가상머신을 UTM을 통해 실행하려고 하면 각종 에러가 발생합니다. 아래 가이드에 맞게 실행하면 오류 없이 실행됩니다. Emulate 선택Linux 선택Boot ISO 이미지를 x86_64(amd64) 이미지로 선택따로 튜닝할 부분 없음. 기호에 맞게 메모리/CPU 코어 수정Open VM Settings 후 저장하여 VM 설정으로 이동CPU 를 기본 값에서 IvyBridge 로 변경 (변경하지 않으면 설치 단계에서 OS Installer 실행 시 glibc fatal error 발생)(참고 : How To Resolve Fatal glibc ..
-
리눅스 rpm 상세 정보 확인IT/리눅스 2021. 6. 1. 10:51
rpm -qa --queryformat %{name}-%{version}-%{release}. %{arch}"\n" |grep openssl- 버전 확인 - 결과 값 rpm -qa --queryformat %{name}-%{version}-%{release}. %{arch}"\n" |grep bash rpm -qa --queryformat %{name}-%{version}-%{release}. %{arch}"\n" |grep glibc rpm -qa --queryformat %{name}-%{version}-%{release}. %{arch}"\n" |grep openssh
-
vmware 부팅 순서 변경IT/vmware 2021. 5. 12. 11:08
CMOS 셋업에서 변경하기 1. 실행 할 가상 머신을 선택한 후 메뉴에서 VM -> Power -> Power On to BIOS 항목을 선택합니다. 2. 가상 머신이 구동되고 자동으로 CMOS 셋업으로 진입합니다. Boot 메뉴로 이동하여 장치의 부팅 순서를 변경해 줍니다.[장치의 선택은 키보드의 방향키를 통해서 하며 순서의 이동은 키보드의 + - 키로 조작합니다.] CD-ROM Drive 를 첫 번째 부트 장치로 Hard Drive 를 두 번째 부트 장치로 설정하시면 됩니다. 3. 설정을 마쳤으면 Exit 메뉴로 이동하여 F10(Save and Exit) 항목을 선택한 후 [Enter] 키를 눌러 줍니다. ☞ CMOS 셋업으로 들어가는 다른 방법 가상 머신의 구동을 시작할 때 [F2] 키를 눌러주면 ..
-
리눅스 물리 파티션 e2fsck를 이용해 용량 증설IT/리눅스 2021. 5. 10. 10:52
*e2fsck로 특정 파일시스템 점검시 오류 자동수정 e2fsck 옵션 -p 자동으로 복구 (질문없이) -n 파일 시스템 변경 -y 모든 질문에 Yes라고 대답 -c Bad Block을 검사 -f 파일 시스템에 문제가 없어도 강제로 검사 -v 작업 내용을 상세히 출력 -j [유형] ext2, ext3, ext4 기타 등 설정하여 체크 주의사항 - e2fsck은 기본 ext2 대상으로 체크 - 해당장치가마운트가되어있는경우오류가발생할수있음 특정 파일 시스템 강제 점검 및 복구*** 강제점검및 복구는 불가피한 상황이 아니면 사용하지 않습니다. *** 1. on-line에서 진행불가... 데이터 보존 장담 불가...#umount /data2 2. fdisk 명령으로 추가한 1테라 디스크를 확인합니다. # fdi..